BTB 물리치료사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BTB 물리치료사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55)
    • 물리치료 (44)
    • 일상 (3)
    • 이런 운동 (5)

검색 레이어

BTB 물리치료사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물리치료

  • 골반 pelvis / 엉덩뼈능선(장골릉) iliac crest

    2022.04.19 by 이런 운동

  • 간 때문이야

    2022.04.15 by 이런 운동

  • 회전근개 근육1 / 가시위근(극상근) supraspinatus muscle

    2022.04.14 by 이런 운동

  • 이끼를...약으로??

    2022.04.08 by 이런 운동

  • 어깨주변 근육의 역할 / 큰가슴근(대흉근) pectoralis major muscle

    2022.04.08 by 이런 운동

  • 어깨 근육 / 어깨세모근(삼각근) deltoid muscle

    2022.04.07 by 이런 운동

  • 노고리인대(요골윤상인대) annular ligament / 팔꿉관절(주관절) 복합체 / 팔꿈치가 아파요

    2022.04.06 by 이런 운동

  • 우리 몸에서 피가 날 때…

    2022.04.02 by 이런 운동

골반 pelvis / 엉덩뼈능선(장골릉) iliac crest

골반 pelvis 엉덩뼈능선(장골릉) iliac crest 해부학적 특징 🟠 엉덩뼈날개 (장골익)의 위모서리(상연)를 엉덩뼈능선이라 부른다. 🟠 엉덩뼈능선에는 바깥능선(외순)[배바깥빗근(외복사 낳는다], 중간선[배속빗근(내복사근)이 잇는다], 속능선 (내순)[배가로근(복횡근)이 잇는다)이 있다. 🟠 엉덩뼈능선의 앞쪽은 위앞엉덩뼈가시 (상전장골극)로 이어지고, 뒤쪽은 위뒤엉덩뼈가시(상후장골극)로 이어진다. 임상과의 관련 🟠 좌우의 엉덩뼈능선의 꼭지점을 연결하는 선은 L4, L5 가시돌기 사이를 통과한다. 이 선은 야코비선(Jacoby's line)이라 불리며 허리뼈(요추) 천자를 비롯하여 척추수순의 결정에 유용한 지표가 된다. 🟠 허리뼈의 고정을 목적으로 하는 몸통 장구(체간장구)에서는 엉덩뼈능선은 3점 ..

물리치료 2022. 4. 19. 15:42

간 때문이야

간이 좋지 않으면... 눈이 노랗게 변해요. 간은 피에 섞여 있는 빌리루빈이라는 노란 노폐물을 분해해요. 간이 좋지 않으면 빌리루빈이 피에 그대로 남아서 피부와 눈의 흰자위가 노란색을 띠지요. 적혈구가 오래되면 파괴되고 그 성분들은 새 적혈구를 만드는데 쓰여요. 적혈구가 파괴될 때 빌리루빈이 생겨나지요. 간 간은 여러 가지 일을 해요. 그 중 가장 중요한 일은 피를 청소하는 거예요. 빌리루빈이 든 노폐물을 모아서 큰창자로 보내고, 나머지 물질은 다시 피로 돌려 보낸답니다. 간에 이상이 생기면, 빌리루빈이 피에 점점 쌓이면서 온몸으로 돌아다녀요. 나중에 더 심해지면 피부와 눈이 노랗게 변해요. 피부와 눈 등이 노랗게 변한 상태를 황달이라고 해요.

물리치료 2022. 4. 15. 15:27

회전근개 근육1 / 가시위근(극상근) supraspinatus muscle

가시위근(극상근) supraspinatus muscle 해부학적 특징 ● [잇는 곳 어깨뼈 가시위오목(극상와) [닿는 곳] 위팔뼈 큰결절의 위 작은 면 [지배신경] 어깨위신경(견갑상신경)(C5 - C6) ● 가시위근은 돌림소매(건판)를 형성하는 4개 근육군의 하나이며 그 중에서도 기능상 가장 중요한 근육이다. ● 가시위근과 어깨 밑근(견갑하근) 사이에는 간극이 있고, 돌림소매 성긴 부분(소부)이라 불린다. ● 가시위근의 윗면에는 봉우리밑주머니(견봉하활액낭)가 있고, 가시위근의 미끄럼 기능을 원활하게 하고 있다. 근육기능의 특징 ● 가시위근은 어깨관절의 벌림 (외전)에 작용하지만, 뼈머리 중심에서부터의 거리가 매우 짧기 때문에 벌리는 힘 (외전력)으로서의 작용은 그다지 강하지 않다. ● 가시위근의 기능으로..

물리치료 2022. 4. 14. 15:40

이끼를...약으로??

사람의 DNA는… 이끼를 약으로 바꿀 수 있어요. (에??) 당뇨병 치료에 쓰이는 인슐린은 만드는 방법이 복잡하고 비용도 많이 들어요. 그런데 인슐린을 값싸게 많이 만들 새로운 방법들이 나오고 있어요. 사람의 DNA와 이끼 DNA를 합치는 방법도 그 중 하나예요. 1️⃣ '피스코미트렐라 파텐스' 라는 이끼에서 DNA를 추출해요. 2️⃣ 사람 DNA에서 인슐린을 만드는 부위를 잘라서 이끼 DNA에 집어넣어요. 3️⃣ 바뀐 이끼 DNA를 다시 이끼에 집어넣어요. 4️⃣ 바뀐 이끼가 자라고 번식을 해요. 그러면서 인술린을 만들어요. 이끼는 물, 빛, 영양소가 있어야 자라요. 화학자들은 이끼에서 인슐린을 추출해서 약으로 만들어요. 이 방법을 쓰면 지금의 방법보다 더 값싸게 더 많은 인슐린을 만들 수 있을 거예요.

물리치료 2022. 4. 8. 14:54

어깨주변 근육의 역할 / 큰가슴근(대흉근) pectoralis major muscle

큰가슴근(대흉근) pectoralis major muscle 해부학적 특징 ● 큰가슴근 빗장뼈부분 섬유(clavicular fiber of pectoralis major muscle) [잇는 곳] 빗장뼈 안쪽 1,2 앞면 [닿는 곳] 위팔뼈 큰결절 능선 ● 큰가슴근 복장갈비부분 섬유(stermocostal fiber of pectoralis major muscle) [잇는 곳] 복장막(흉골막), 제2 ~ 제6 갈비연골(늑연골) [닿는 곳] 위팔뼈 큰결절 능선 ● 큰가슴근 배부분 섬유 (abdominal fiber of pectoralis major muscle) [잇는 곳] 배곧은근집 (복직근초) 가장 윗부분의 앞엽 (전업) [닿는 곳] 위팔뼈 큰결절 능선 [지배신] 가슴근신경(흉근신경) (C5~TI) ..

물리치료 2022. 4. 8. 10:43

어깨 근육 / 어깨세모근(삼각근) deltoid muscle

어깨세모근(삼각근) deltoid muscle 해부학적 특징 ● 어깨세모근 앞쪽섬유(anterior fiber of deltoid muscle) [잇는 곳] 빗장뼈 가쪽 1/3 앞 모서리 [닿는 곳] 위팔뼈 중앙 가쪽의 어깨세모근 거친면 ● 어깨세모근 중앙섬유(middle fiber of deltoid muscle) [잇는 곳] 봉우리 (견봉)의 가쪽 모서리 [닿는 곳] 위팔뼈 중앙 가쪽의 어깨세모근 거친면 ● 어깨세모근 뒤쪽섬유(posterior fiber of deltoid muscle) [잇는 곳] 어깨뼈가시의 아래 모서리 [닿는 곳] 위팔뼈 중앙 가쪽의 어깨세모근 거친면 ● [지배신경 겨드랑신경 (C5 - C6) ● 어깨세모근 중앙섬유의 근육섬유 배열은 날개구조이고, 앞쪽섬유와 뒤쪽섬유는 거의 평..

물리치료 2022. 4. 7. 12:50

노고리인대(요골윤상인대) annular ligament / 팔꿉관절(주관절) 복합체 / 팔꿈치가 아파요

팔꿉관절(주관절) 복합체에 관련되는 인대 노고리인대(요골윤상인대) annular ligament 해부학적 특징 🔴 [잇는 곳] 자뼈의 노패임(요골절흔) 앞 모서리 [닿는 X 자뼈 노패임의 뒤 모서리 🔴 노고리인대(요골윤상인대)는 가쪽곁인대가 부착한다. 🔴 노뼈머리 (요골두)의 관절 고리 면을 에워싸고 몸쪽노자관절의 안정에 관여한다. 🔴 아래팔의 엎침회내)에 의해서 노머리뼈는 가쪽으로 전위하기 때문에 노고리인대의 긴장은 높아져 몸쪽노자관절은 안정된다. 임상과의 관련 🔴 소아의 팔을 당겼을 때에 발병하는 일이 많은 팔꿈치의 안 장애 (주내장, internal derangement of elbow joint)는 노고리인대가 끼어들어가는 것에 의해서 발병한다. 🔴 노고리인대나 가쪽곁인대의 단축은 아래팔 엎침 제..

물리치료 2022. 4. 6. 11:48

우리 몸에서 피가 날 때…

우리 몸에서 피가 날 때… 공중으로 9미터까지 솟을 수 있어요. 상처를 입으면 피를 얼마나 빠르고 멀리 뿜게 될까요? 그것은 혈관이 베인 크기와 혈압에 따라 달라요. 피는 아주 작은 모세 혈관에서 가장 느리게 흐르고 동맥에서 가장 빠르게 흘러요. 혈관이 약간 베이거나 모세 혈관이 베였을 때 피가 조금 나와요. 모세 혈관이 베였을 때 곧이어 피딱지가 엄겨 상처를 뒤덮고 출혈을 멈춰요. 정맥이 베였을 때 정맥에서는 피가 계속 흘러 나와요. 정맥은 모세 혈관보다 더 커서 피가 더 빨리 흘러요. 베인 부위를 꾹 누르고 있으면 출혈을 멈추는 데 도움이 돼요. 동맥이 베였을 때 심장이 뛸 때마다 피가 왈칵왈칵 나와요. 동맥은 심장에서 곧바로 다른 부위들로 피를 보내는 혈관이에요. 심장이 피를 뿜을 때의 높은 압력을..

물리치료 2022. 4. 2. 09:27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 6
다음
TISTORY
BTB 물리치료사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