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B 물리치료사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BTB 물리치료사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55)
    • 물리치료 (44)
    • 일상 (3)
    • 이런 운동 (5)

검색 레이어

BTB 물리치료사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 글

  • 우리 몸에서 피가 날 때…

    2022.04.02 by 이런 운동

  • 팔꿈치 불안정성 / 팔꿈치의 바깥쪽 인대 / 외측척골측부인대 lateral ulnar collateral ligament

    2022.04.02 by 이런 운동

  • 오직 사람만이 가능하답니다

    2022.04.01 by 이런 운동

  • 팔꿈치 구조물 / 안쪽곁인대(내측측부인대) medial collateral ligament / 팔꿉관절장애

    2022.04.01 by 이런 운동

  • DNA의 차이 입니다.

    2022.03.31 by 이런 운동

  • 우리의 의지만으로는… 우리 몸을 제어할 수 없어요.

    2022.03.30 by 이런 운동

  • capsular ligament of the shoulder joint / 견관절낭인대

    2022.03.29 by 이런 운동

  • [어깨 관절] 해부학 / 주변 인대 / 앞복장빗장인대(전흉쇄인대) anterior sterno-clavicular ligament / 갈비빗장인대(늑쇄인대) costo-clavicular ligament

    2022.03.28 by 이런 운동

우리 몸에서 피가 날 때…

우리 몸에서 피가 날 때… 공중으로 9미터까지 솟을 수 있어요. 상처를 입으면 피를 얼마나 빠르고 멀리 뿜게 될까요? 그것은 혈관이 베인 크기와 혈압에 따라 달라요. 피는 아주 작은 모세 혈관에서 가장 느리게 흐르고 동맥에서 가장 빠르게 흘러요. 혈관이 약간 베이거나 모세 혈관이 베였을 때 피가 조금 나와요. 모세 혈관이 베였을 때 곧이어 피딱지가 엄겨 상처를 뒤덮고 출혈을 멈춰요. 정맥이 베였을 때 정맥에서는 피가 계속 흘러 나와요. 정맥은 모세 혈관보다 더 커서 피가 더 빨리 흘러요. 베인 부위를 꾹 누르고 있으면 출혈을 멈추는 데 도움이 돼요. 동맥이 베였을 때 심장이 뛸 때마다 피가 왈칵왈칵 나와요. 동맥은 심장에서 곧바로 다른 부위들로 피를 보내는 혈관이에요. 심장이 피를 뿜을 때의 높은 압력을..

물리치료 2022. 4. 2. 09:27

팔꿈치 불안정성 / 팔꿈치의 바깥쪽 인대 / 외측척골측부인대 lateral ulnar collateral ligament

팔꿉관절(주관절) 복합체에 관련되는 인대 / 가쪽자뼈곁인대(외측척골측부인대) lateral ulnar collateral ligament 해부학적 특징 ✅ [잇는 곳] 위팔뼈가쪽위관절융기 (상완골외측상과) [닿는 곳] 자뼈뒤침근능선(척골회외근릉) ✅ 1985년 Morrey에 의해서 보고가 된 인대이며 가쪽에 있는 인대이고, 유일하게 위팔자인대 (상완척골인대)의 안정성에 관여한다. ✅ 팔꿉관절의 안쪽번짐 제동과 함께 위팔자관절 (상완척골관절)의 뒤가쪽돌림 (후외측회전) 불안정성을 제동한다. 임상과의 관련 ✅ 1991년 O'Dricoll 등이 제창한 팔꿉관절 뒤가쪽돌림불안정증(posterolateral rotatory instability: IPLRI)과의 연관성이 강하다고 한다. ✅ 가쪽의 인대이고 가장 ..

물리치료 2022. 4. 2. 09:14

오직 사람만이 가능하답니다

오직 사람만이… 얼굴이 붉어져요. 아??? 그런가?? 부끄럽거나 당황하는 등 스트레스를 받으면 얼굴이 빨개져요. 이런 현상을 홍조라고 해요. 모든 사람은 홍조를 띨 수 있고, 생명체 가운데 오직 사람만이 홍조를 띨 수 있어요. 과학자들은 사람이 홍조를 띠는 이유는 밝히지 못했지만, 그 과정은 알아냈어요. 1️⃣ 스트레스를 받으면 몸은 아드레날린이라는 호르몬을 만들어요. 2️⃣ 아드레날린은 몸속을 도는 산소의 양을 늘려요. 그러기 위해 호흡이 더 빨라지고, 심장이 더 빨리 뛰고, 혈관이 더 넓어져요. 3️⃣ 혈관이 넓어지면 피가 더 많이 흘러요. 그러면 피부는 겉으로 보기에 더 붉어지고 우리는 얼굴이 달아오른다고 느껴요. 홍조 확대한 모습 뺨 속의 혈관은 아드레날린에 유난히 민감하게 반응해요. 또한 뺨속 ..

물리치료 2022. 4. 1. 10:02

팔꿈치 구조물 / 안쪽곁인대(내측측부인대) medial collateral ligament / 팔꿉관절장애

팔꿉관절(주관절)복합체 / 안쪽곁인대(내측측부인대) medial collateral ligament 해부학적 특징 ● 안쪽곁인대는 앞빗섬유(전사주섬유), 뒤빗섬유(후사주섬유), 가로섬유(황주섬유)로 나뉜다. ● 앞빗섬유(anterior oblique ligament: AOL) [잇는 곳] 위팔뼈 안쪽위관절음기 배쪽(상완골 내측상과 복측) [닿는 곳] 자뼈 갈고리 돌기 (척골 구상돌기)의 안쪽 면 ● 뒤빗섬유(posterior oblique ligament; POL) [잇는 곳] 위팔뼈 안쪽위관절융기 등쪽(상완골 내측상과 배측) [닿는 곳] 자뼈 팔꿈치머리 (척골주두)의 안쪽 면 ● 팔꿉관절의 굽힘 · 폄 운동을 할 때에 있어서 앞빗섬유의 길이는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이것은 어느 각도에서도 항상 일정한 ..

물리치료 2022. 4. 1. 09:50

DNA의 차이 입니다.

여자의 DNA가 남자의 DNA보다 더 많아요. 남자와 여자의 DNA는 딱 한 군데만 달라요 이 부분에서 성별이 결정돼요. 남자는 이 부분의 DNA가 여자보다 훨씬 적어요. 사람의 세포에 있는 DNA는 46개 토막으로 나뉘어 있어요. 이 토막을 염색체라고 해요. 염색체는 1번부터 22번 까지 두 개씩 22쌍이 있고, 나머지 한 쌍은 모양이 달라요. 모양이 다른 염색체가 X와 Y예요. 여자는 X 염색체만 두 개 지녔어요. 반면, 남자는 염색체와 Y 염색체를 하나씩 갖고 있지요. 여자 X 염색체에는 약 1억 5,300만 쌍의 DNA 염기가 들어 있어요. 남자 Y 염색체는 X 염색체에 비해 크기도 훨씬 작고, DNA 염기 수도 약 5,900만 쌍으로 더 적어요. 남자와 여자의 몸이 서로 다르게 자라는 주된 이유..

물리치료 2022. 3. 31. 18:52

우리의 의지만으로는… 우리 몸을 제어할 수 없어요.

우리의 의지만으로는… 우리 몸을 제어할 수 없어요. 우리가 살아가려면 우리 몸이 호흡에서 소화에 이르기까지 일을 하는 방법을 기억해야 해요. 다행히도 우리가 그 모든 일들을 걱정할 필요는 없어요.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 신경계, 특히 자율 신경계가 알아서 다 해 주거든요. 자율 신경계는 우리 몸의 각 부위에 있어요. 우리 몸이 무엇을 필요로 하는지에 따라 각 부위와 관련된 자율 신경이 작동해요. 자율 신경계는 뇌에 있는 시상하부라는 샘과, 뇌의 아랫부분에 있는 뇌줄기, 그리고 등줄기에 뻗은 척수라는 신경의 통제를 받아요. ⏹ 평상시 - 눈동자가 작아져요. - 심장이 정상적인 속도로 뛰어요. - 소화가 잘 돼요.. - 우리 몸의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해요. - 깊고 느리게 호흡해요. ⏹ 긴급상황 - 눈동자가 ..

물리치료 2022. 3. 30. 10:15

capsular ligament of the shoulder joint / 견관절낭인대

어깨관절주머니인대(견관절낭인대) capsular ligament of the shoulder joint 해부학적 특징 ● 어깨관절주머니: [잇는 곳] 어깨뼈목(견갑경) 및 관절테두리 (관절순)와 그 바깥둘레 [닿는 곳] 위팔뼈의 해부목(해부경), 큰 , 작은결절 ● 위관절위팔인대(상관절상환인대, superior gleno-humeral ligament; SGHL) : [잇는 곳] 위팔두갈래근긴갈래힘줄(상완이두근장두건) 부착부위의 앞쪽 [닿는 곳] 작은결절의 위쪽 ● 가운데관절위팔인대(중관절상완인대, middle gleno-humeral ligament: MGHL) : [잇는 곳] 앞 위쪽의 관절호목 및 관절테두리 [닿는 곳] 작은결절의 안쪽 ● 앞아래관절상완인대(전하관절상완인대, anterior infe..

물리치료 2022. 3. 29. 11:37

[어깨 관절] 해부학 / 주변 인대 / 앞복장빗장인대(전흉쇄인대) anterior sterno-clavicular ligament / 갈비빗장인대(늑쇄인대) costo-clavicular ligament

어깨관절 복합체에 관련되는 인대 앞복장빗장인대(전흉쇄인대) anterior sterno-clavicular ligament 갈비빗장인대(늑쇄인대) costo-clavicular ligament 해부학적 특징 ● 앞복장빗장인대: [잇는 곳] 빗장뼈의 복장뼈(흉골) 끝 앞면 [닿는 곳] 복장삐자루(흉골병)의 앞면 ● 갈비빗장인대: [잇는 곳] 제1 갈비연골 안쪽 끝의 윗면 [닿는 곳] 빗장뼈의 갈비 빗장인대의 자국(압흔) ● 복장빗장관절 관절주머니의 앞면의 보강에는 앞복장빗장인대, 뒷면의 보강에는 뒤복장빗장인대가 존재한다. ● 빗장뼈의 폄(신전)을 앞복장빗장인대가 제동하고, 빗장뼈의 굽힘을 뒤복장빗장인대가 제동한다. ● 빗장뼈의 올림과 뒤쪽 돌림을 갈비빗장인대가 제동한다. 임상과의 관련 ● 복장빗장관절 탈구..

물리치료 2022. 3. 28. 10:32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5 ··· 7
다음
TISTORY
BTB 물리치료사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